
😃 || 정리 주어진 숫자의 각 자릿수를 2 제곱해서 더한 수가 최종적으로 1이 되면 happy number로 true를 반환하고,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하게 된다. 어떤 규칙이 있을까 2~10까지 숫자를 직접 해본 결과 happy number가 아니면 같은 수가 반복되어 나오는 것을 알게 되었다. 그래서 배열에 합계들을 넣고 , 중복이 되면 안되므로 Set 컬렉션을 쓰기로 했다. 그리고 만약 중복되는 숫자가 들어오면 false를 반환하도록 만들기로 했다. 😃 || 풀이 방법 import java.util.*; class Solution { public boolean isHappy(int n) { String num = n + ""; HashSet unHappySet = new HashSet()..

😃 || 정리 완전탐색(Brute-Force Search) 알고리즘이란 이름 그대로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하나 탐색해보는 방법이다. 예를 들어 핸드폰 4자리숫자를 풀 때 0000부터 9999까지 직접 쳐보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.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탐색할 것이 적은 곳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. 그리고 시작과 끝을 고려하는 것이 메모리와 시간을 줄이는 것 모두에 좋다. 😃 || 풀이 방법class Solution { public int[] solution(int brown, int yellow) { int[] answer = {}; int carpetLen = brown + yellow; for(int i=1; i= cRow){ answer = new int[]{cCol , cRow}; break; } } ..
1. 개념 같은 타입의 변수를 다루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가 많아 질 때 변수를 따로 설정하지 않고도 데이터를 처리하기에 유용하다. 2. 배열 만들기 2-1 . 배열 선언하기 타입[ ] 변수명; ex ) int[ ] intArr; 타입 변수명[ ]; ex ) int intArr[ ]; 2-2 . 배열의 크기 생성하기 선언한 배열형 참조변수 옆에 = new 타입[ 크기 ] 를 지정해준다 ex ) int[ ] intArr = new int[5]; 3. 배열의 초기화 배열이 생성되면서 타입에 맞는 기본값으로 초기화 되지만 자신이 원하는 값을 저장할 수도 있다. index는 0부터 시작된다. 3-1. 직접 초기화하기 ex) int[ ] intArr = new int[5]; intArr[0] = 1; intArr[..
- Set을 이용해서 로또프로그램 만들기 -> Set을 이용하기 때문에 중복값이 들어가지 않는다. - TreeSet을 이용해서 정렬이 되게 만들었다 import java.util.Scanner; import java.util.Set; import java.util.TreeSet; public class LottoStore { //입력받는 스캐너 메서드 int input() { Scanner input = new Scanner(System.in); int in = input.nextInt(); return in; } //main을 부르는 메서드 void mainName() { System.out.println("=========================="); System.out.println(" Lo..
String클래스를 쓰다보면 이렇게 쓰면 편했는데 뭐였지? 하면서 까먹게 되거나 split , substring처럼 쓰임이 헷갈리는 메서드들이 생겨서 정리하는 글! 다는 아니고 내가 자주 쓰는 것들 위주로 정리했다. 1. char charAt(int index) --> 문자열 내에서 지정된 index의 문자를 꺼내올때 사용한다. ex) 1 2 3 String str = "Hello World"; char chr = str.charAt(1); //결과: e cs 2. String concat(String str) --> 문자열을 덧붙일 때 사용한다. 다수의 문자를 덧불일 때는 +(append)가 유용하다 ex) 1 2 3 String str = "Hello "; String str2 = str.concat..
[2-1] 종류/ 크기 1Byte 2Byte 3Byte 4Byte 논리형 boolean 문자형 char 정수형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[2-2] long regNo = 1912293786242L [2-3] int i = 100; long l =100L; final float PI = 3.14f; - 리터럴 : 100, 100L 3.14f =>값 - 변수 :i, l, PI - 키워드 : int, long, final float - 상수 : PI [2-4] 답: b b. Byte -> 대문자라서 [2-5] System.out.println(“1” + “2”) → (12) string + string System.out.println(true + “”) → (true ) boolean + ..